안양예술공원 대략 9년 전 방문.. 옛날 부터 찍어놓은 사진 쭉 넘겨보면서.. 아 이런 곳을 갔었구나.. 9년 전에 나는 이런 시선으로 돌아다녔구나.. 하는 기록용 아마 별 코멘트 달지 않고 사진 올리는 것들은 대부분 그런 용도일 듯 하다.. 건축물의 느낌보다 조형미가 더 많이 보였던 곳.. 예술공원이기도 하니까. 건축물/문화 2022.08.16
수지구 보건소, 수지구청 돌이 기본 재료인데 세로로 패턴을 줬다. 보건소와 수지구청이 같이 있는 듯 하다. 저층부 매스 일부분은 커튼월로 이곳에도 세로패턴 줄눈 모듈과 중간에 창호 들어가는 부분의 줄눈도 세로 줄눈은 반으로 나눠서 창호 프레임 가운데에 맞추고 가로 줄눈은 옆에 있는 1모듈짜리의 반으로 갔다. 살짝 음각 창호 프레임 모듈과 천장재의 줄눈이 일치한다. 디테일 부분일 듯. 가운데 창호 들어간 부분 보면 오른쪽 끝부터 시작해서 1판 모듈로 가다가 창호 옆에는 너무 기니까 1/2 하고 그 옆에는 그냥 1판 모듈로 가다가 남은대로 넣은 듯 석재 모듈까지 맞추진 않은 듯 하다. 그걸 맞췄으면 이상했으려나? (코너 부분의 양 옆 사이즈가 다르면 어색하긴 하다.) 돌의 기본 줄눈과 창호 프레임 수평선은 동일하게 필로티 부분인데 .. 파사드 2022.08.16
에폭시 라이닝, 코팅 실내재료 마감을 고민하면서 회사에서 정해놓은 가이드라인은 주차 구획 부분은 에폭시 코팅, 통로 부분은 에폭시 라이닝으로 마감을한다. 에폭시 코팅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램프 부분에선 코팅이 손상되는 일이 많은데.. 그래서 통로 부분은 에폭시 라이닝으로 설계를 한다. 단가 차이는 꽤 남.. 한 5배 이상 정도.. 2020년 기준으로 코팅이 m2 당 6천원, 라이닝이 m2당 3.2만원 했는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다.. 코팅은 0.3T 라이닝은 3T다. 건물 내부/아이템 2022.07.29
아파트 진입 부분의 DA 통로에 DA? 환기 설비 하면서 DA를 얼마나 잘 구성 할지도 (외부에서 볼 때) 하나의 숙제인듯 하다.. 봤을 때 거슬리는 느낌은 별로 없어서 찍어봄 사람들 통행 있는 곳이라면 급기까진 이해해도 배기는 문제가 있어보인다. 설비 2022.07.29
커튼월룩 커튼월룩. 커튼월 룩을 설치하면 알루미늄 프레임을 쓸텐데 그냥 덧대기만 하는건지? 아마 여기도 커튼월룩 시공하는 듯 하다. 아파트 입면 특화? 요소로 커튼월 처럼 보이게 시공하지만 실제는 콘크리트 면 위에 껍데기만 만든거.. 파사드 2022.07.27
창호 설치 모습 일반적인 스테인레스 창호인 듯 한데 자세히 보면 개구부와 창호와 사이에 간극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음. 실제로 도면도 그렇게 그리긴 하지만. 간극 부분은 나중에 우레탄폼 쏘는거로 알고 있는데.. PVC 창호 말고 스테인레스도 간극 채울 땐 우레탄폼 쏘나? 찾아봐야 할 듯.. 디테일 2022.07.27
아파트 측벽 대각선 줄눈 비교적 예전에 지어진 아파트 측벽을 보면 문양 콘크리트도 있고 이것 저것 다양한 문양이 있었는데, 요즘은 대부분 줄눈으로 디자인 처리 하기 마련이다. 수평, 수직의 줄눈이 아니라 대각선으로 패턴을 넣었길래 찍어봤다. 완전히 다 다양하게 하지 않고 층 마다 줄눈이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아파트 갱폼을 통해서 각 층을 시공하기 때문에 아래층에서 썼던 폼을 위에서 그대로 쓰니 각 층별로는 패턴이 반복되었단 사실을 알 수 있다. 건축물/아파트 2022.07.24